요즘 날씨가 참 고약스럽습니다. 겨울에는 추워서, 봄에는 황사 때문에, 여름에는 장마, 더워서 창문을 열어 놓을 수가 없습니다. 실내에서 생활하는 시간에 집안 공기는 계속 오염될 수 밖에 없습니다. 실내 공기정화를 위해서 공기청정기를 사용하고 계시나요 ? 이제 실내 공기질을 위히서 전열교환기 사용을 제대로 하셔야할 시기입니다.
대부분 아파트에는 전열교환기가 설치되어있지만, 많은 분들이 전열교환기 사용법을 제대로 모르시거나, 필터 관리를 거의 하지않아서 오히려 건강을 해치는 경우가 많아서 제데로 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이 포스팅을 작성했습니다.
전열교환기와 공기청정기 차이점, 필터교체시기, 청소방법까지 자세하고 쉽게 정리해드리겠습니다.

전열교환기란 ?
실내 오염된 공기를 밖으로 내 보내고,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집안으로 끌어들이는 장치입니다. 우리집은 공기청정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전열교환기 같은 것은 필요없다고 생각하시는 분들도 계시죠. 과연 그럴까요 ? 공기청정기가 커버할 수 있는 용량은 상당히 제한적 입니다.
방 한칸 정도만 정화할 뿐입니다. 뿐만 아니라, 공기정정기는 신선한 공기를 공급해주는 역할이 아니라, 먼지, 세균을 정화시켜주는 역할입니다. 결국 신선한 외부 공기 유입을 위해서 창문을 열어서 자연환기를 시킬 수 밖에 없습니다.
생각해보세요. 밖에 영하 10도이거나, 영상 35도가 넘는 상황에서 자연환기를 시키면, 내부 온도에 급격한 변화가 발생합니다. 이때 전열교환기를 가동시키면 자연환기 효과를 주면서도, 공기온도를 최소화시켜서 열손실을 줄여줍니다. 자연친화적인 장치입니다.
- 겨울은 따뜻하게
- 여름은 시원하게
- 외부 신선한 공기 유입 장치
- 2006년 이후, 100세대 이상 아파트 의무 설치
전열교환기 공기청정기 차이점
기능 | 실내 외 공기순환 + 열 손실 최소화 | 실내 공기 정화 |
범위 | 집 전체 환기 | 주로 한 공간만 커버 |
작동시간 | 24시간 가동 가능 | 필요시 가동 |
권장 사용법 | 항상 켜두고, 필요시 공기청정기 병행사용 | 보조 수단으로 적절 |
- 황사, 냄새가 날 경우, 전열교환기 + 공기청정기를 함께 사용
전열교환기 필터 교체 주기
전열교환기를 사용하지만, 필터가 있다는 사실을 모르는 분들이 상당 수 입니다. 전열교환기 필터를 교체하지 않고 사용하는 분들이 80% 나 된다는 뉴스기사가 나온적 있습니다. 환기를 위해서 전열교환기를 가동시켰지만, 사실은 필터가 너무 오염되서 전혀 효과가 없고, 오히려 건강을 해칠 수도 있다는 이야기입니다.
- 필터교체 : 6개월 ~ 1년 사이
- 필터청소 : 3개월 권장
사용량이 많거나 집안에 반려동물이 있다면 더욱 자주 관리하시는 것이 좋습니다.
전열교환기 필터 청소방법
- 드라이버 준비
- 전열교환기 전원 끄기
- 다용도실 같은데, 천장에 붙어있는 전열교환기 덮게 풀기
- RA, OA 라고 적힌 필터 분리
- 진공청소기로 청소
- 필터 다시 끼우고 조립
필터를 청소하다보면, 필터에 먼지가 잔뜩있습니다. 진공청소기로 아무리 빨아당겨도 하얗게 되지는 않습니다. 일정 시기가 지나면 새 필터로 교체하는 것이 좋습니다.
필터교체 후기 (에어패스 기준)
- 사용모델 : 에어패스 전열교환기
- 필터 가격 : 5만원
- 구입처 : 에어패스 자사몰
체감효과
- 소음이 줄어들음
- 공기가 왠지 상쾌해진 느낌
마무리 정리
전열교환기는 집안 공기 정화를 위해서 꼭 필요한 장치입니다. 전열교환기는 2006년 이후에 건설된 100세대 이상 공동주택에는 설치가 의무사항이기 때문에 설치되어있는 아파트가 많습니다. 다만, 초기에 설치된 장치를 그대로 사용할 경우, 필터가 거의 20년이 되었다는 사실을 꼭 기억해주세요.
전열교환기 필터 교체주기는 1년 입니다. 청소는 3개월에 한번씩 하게 되어있고요. 따라서 꼭 사용전에 전열교환기를 열어서 필터 상태를 확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. 필터에 보시면, 제조연월일이 나오기 때문에 언제 넣어둔 필터인지 확인 가능합니다.
건강한 실내공기를 위해서 전열교환기 관리는 필수입니다.
댓글